전통지능이론은 3가지만 알면 됨
지능을 단일 영역으로 봄. (언어영역, 수학, 과학능력 등의 인지적 능력으로 제한함)
지능의 총량은 고정되어 있으며 양적 측정을 중요시함
지능은 선천적이며 발달이 불가능함.
이게 전통지능이론들의 공통점이라고 보면 됨.
1. 스피어만의 g요인설
스피어만은 지능을 일반요인(General factor, G요인), 특수요인(Specific factor, S요인)으로 이루어진 단일 능력이라고 보았음.
일반요인(G)은 일반적인 지적과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능력(이해력, 상상력), 특수요인(S)은 특수한 과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능력으로 일반성이 낮아 일반요인을 중요하게 보고 특수요인은 중요하게 보지 않음. 결국 스피어만은 G요인을 중요시하며 지능이 높으면 다 잘할 것으로 주장함.
2. 서스톤의 다요인설(기본정신능력)
스피어만의 G요인설을 부정하며 지능은 하나의 단일요인이 아니라 7개의 기본정신능력(PMA:Primary Mental Abilities / 언어이해, 단어유창성, 수, 공간, 기억, 추리, 지각속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함. 그래서 서스톤은 지능은 개인차 해석이 요구되며, 학생마다 뛰어난 능력이 다름을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함.
3. 카텔 & 혼의 위계적 요인설
스피어만의 일반요인설과 서스톤의 기본정신능력 이론의 장점을 결합하고 분석해 일반지능(G요인)을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으로 분류.
유동성 지능이란 유전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 지능(기억력, 암기력, 추리력)으로 청년기까지만 발달하고 그 이후부터는 쇠퇴.
결정성 지능이란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 지능(어휘력, 상식, 일반지식)으로 청년기 이후에도 계속 발달할 수 있음.
4. 길포드
지능구조
내용, 조작 없이 결과. 수렴적 사고와 확산적 사고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0) | 2020.12.04 |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0) | 2020.11.16 |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0) | 2020.11.15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0) | 2020.11.13 |
댓글